비트코인 전략비축에 대한 트럼프의 의지는 어느 정도일까? (출처: CryptoSlate)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가 비트코인 보유 전략을 담은 행정명령을 발동하면서, 2025년 미국 정부의 비트코인 실매입 가능성을 두고 금융권에서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비트코이니스트에 따르면, 블룸버그의 한 법률 분석가는 내년 미국 정부가 비트코인을 실제로 매입할 가능성을 30% 수준으로 전망했다. 그는 “현재 워싱턴의 정치 지형상, 공화당이 하원을 간신히 장악하고 있지만 민주당의 반대에 부딪힐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진정 매입 의지가 있었다면 의회 동의 없이도 활용 가능한 재무부 산하 환율안정기금을 통해 이미 매입을 시작했을 것이라는 지적도 덧붙였다.반면, 자산운용사 반에크(VanEck)의 디지털자산 리서치 총괄 매트 시겔은 훨씬 낙관적인 시각을 보였다. 그는 미국의 비트코인 매입 가능성을 50~60% 수준으로 추산하면서, “이번 행정명령은 단순한 선언이 아니라 전략적 자산 편입을 위한 구조 설계의 신호일 수 있다”고 해석했다.시겔은 특히 미국이 중국, 러시아, 중동 등과의 금융 패권 경쟁에서 비트코인을 디지털 금(Digital Gold) 으로 활용할 가능성을 언급했다. 미국이 세계 최초로 비트코인을 외환보유고나 전략자산으로 편입하는 국가가 된다면, 글로벌 금융 질서에 큰 변화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실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미국을 비트코인 슈퍼파워로 만들겠다”며 디지털 자산 전략을 공식화했고, 암호화폐 산업을 '경제 성장의 핵심 축'으로 간주한다고 밝혀왔다.현재로서는 미국 정부가 비트코인을 직접 매입할지, 아니면 압수 자산을 활용해 보유만 할지 여부도 불투명한 상태다. 다만 주요국 정부 가운데 비트코인을 본격적으로 외환보유 자산에 포함시키는 움직임이 가시화될 경우, 이는 디지털자산 시장뿐 아니라 달러 체제를 중심으로 한 글로벌 금융 시스템 전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건이 될 가능성이 높다.향후 트럼프 행정부의 비트코인 정책이 상징에 그칠지, 실질적인 ‘국가 차원의 BTC 매입’으로 이어질지는 2025년 미국 정치 구도와 의회 구성에 따라 결정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