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모건, 비트코인·이더리움 담보 대출 상품 검토

세계 최대 은행 JP모건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담보로 대출해주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전통 금융권이 디지털 자산을 핵심 자산의 일부로 본격 수용하기 시작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JP모건체이스가 고객이 보유한 암호화폐를 담보로 대출을 제공하는 상품 출시를 검토 중이라고 보도되었으며, 이르면 내년 상품화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해졌다.
익명의 관계자를 통해 주요 대상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며, 직접 대출 방식으로 제공하는 구조를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보도 이후 JP모건은 공식 입장을 내지 않았다.
이번 보도를 두고 시장에서는 JP모건이 디지털 자산을 ‘대체 자산’이 아닌 ‘핵심 금융 자산’으로 받아들이기 시작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그동안 암호화폐는 가격 변동성과 규제 불확실성을 이유로 전통 금융기관으로부터 외면받아 왔다. 그러나 암호화폐를 장기 보유하면서도 현금 유동성을 확보하려는 수요가 늘어나자, 기존 담보대출 모델을 디지털 자산으로 확장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것이다.
다만 구조상 리스크도 적지 않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주요 암호화폐는 몇 퍼센트씩 급등락할 정도로 변동성이 크기 때문이다. 담보 가치가 급락할 경우 대출 회수와 강제 청산이 잇따를 수 있다는 지적이다. 상당한 리스크 관리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
미국 금융당국의 규제 방향도 변수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 연방예금보험공사, 통화감독청 등은 암호화폐 관련 대출 상품에 대한 명확한 규제 기준을 마련하지 않은 상태다. 대출 실행과 회수 과정에서 법적 해석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JP모건은 과거에도 디지털 자산과 관련해 실험적 행보를 이어온 만큼 대출자산 검토 움직임은 실현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JP모건은 이전에도 내부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축, JPM코인 발행, 대형 기관 고객 대상 블록체인 기반 결제를 운영하고 있다.
업계는 JP모건이 실제 대출 상품을 출시할 경우 암호화폐가 더 이상 투기성 자산이 아닌 ‘담보 가치가 인정되는 자산’으로 인정받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