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라 네트워크, AI 검증 인프라 2단계 발표…게임과 블록체인 프레임워크 참여

인공지능(AI) 검증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는 미라 네트워크(Mira Network)가 두 번째 에코시스템 공개에 나섰다. 미라 네트워크는 1일(현지시각) X(옛 트위터)를 통해 게임, 온체인 AI, 런치패드, 에이전틱 네트워크, 프라이버시 AI 등 다양한 분야의 프레임워크 협업을 추가로 공개했다. 이는 지난달 24일 1단계로 5곳의 주요 프레임워크 협업을 소개한 데 이은 것이다.
이번 2단계 발표는 미라 네트워크가 추구하는 ‘검증 가능한 지능(Provable Intelligence)’을 구체화하는 과정의 일부다. 미라 네트워크는 각기 다른 분야에서 개발되는 AI 에이전트들이 인간의 감독 없이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이를 프레임워크 단위로 검증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게임 분야 특화 AI 프로젝트 K젠(KGeN)은 다양한 게임 환경에서 수집한 고유 데이터셋을 미라 네트워크의 검증 시스템에 연결해 게임 속 AI 에이전트의 행동과 규칙에 기반한 메커니즘을 자동으로 평가하는 구조를 만들고 있다. 미라 네트워크는 이 시스템이 게임 속 AI의 판단 과정을 투명하게 검증할 수 있는 초석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탈러스 네트워크(Talus Network)는 블록체인 상에서 수익을 창출하는 자율형 AI 에이전트를 개발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에이전트가 직접 디지털 업무를 수행하고 그에 따른 수익을 온체인으로 생성·분배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아이크래프트(AiCraft)는 AI 에이전트를 활용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종의 런치패드다. 개발자들은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AI 앱을 설계하고 배포할 수 있다.
스펙트럴랩스(Spectral Labs)는 여러 개의 AI 에이전트가 하나의 팀처럼 협력하는 구조를 개발하고 있다.
팔라 네트워크(Phala Network)는 미라 네트워크를 공식 모델 공급자로 등록하고 검증 가능한 대형 언어 모델(LLM)을 프라이버시 중심 AI 환경에 통합하고 있다.
미라는 이번 파트너십들을 통해 AI 에이전트가 게임이든 온체인이든 어떤 환경에서도 검증 가능한 상태로 운용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미라 네트워크 측은 “이후에도 다양한 분야의 프레임워크와 협업을 이어가며 에이전트 중심 생태계 전반에 검증 인프라를 보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