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뉴스] 웹3 기반의 스토리 플랫폼, 저렴한 비용으로 IP 보호 혁신 ... PIL 도입

오늘날 우리는 누구나 다양한 창작물을 소유하고 공유할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창작자들은 자신의 지적 재산권(IP)에 대한 법적 권리나 수익 권한을 온전히 보장받지 못한다. AI의 발달로 다양한 창작물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지만, 수익은 창작자에게 돌아가지 않는 현실이다.
현재 미국을 포함한 많은 국가에서는 창작물에 대해 자동으로 저작권이 부여된다. 그러나 저작물에 대한 법적 효력이 불명확한 경우, 분쟁 상황에서 IP가 효과적으로 보호받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주요 기업이나 기관은 계약서를 통해 권리를 명확히 설정하지만, 이는 개별 창작자에게 큰 부담이 된다.
웹3 기반 IP 플랫폼 스토리(Story)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로그래머블 IP 라이선스(Programmable IP License, PIL)’를 제시했다. PIL은 스토리가 글로벌 로펌들과 협력해 만든 업계 표준의 라이선스 템플릿이다. 사용자들은 스토리의 IP 포털에서 간단하게 창작물을 등록하고 라이선스를 생성할 수 있다. PIL은 상업용, 비상업용 등 다양한 조건을 쉽게 선택할 수 있게 설계됐다.
PIL은 오프체인 법률 문서와 온체인 스마트 계약이 결합된 최초의 ‘온체인 계약’이다. 이는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들이 블록체인 상의 스마트 계약으로 작동하며, 투명하고 위변조가 불가능한 방식으로 기록된다. PIL은 법적 분쟁 시 효력을 지니며, 자동화된 진위 검증 시스템을 통해 창작물이 실제로 등록자에 의해 생성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스토리는 자신들의 플랫폼을 “IP계의 유에스디코인(USDC)”으로 비유하며, IP를 조건 기반으로 조립할 수 있는 ‘IP 레고(IP Legos)’ 개념을 도입했다. 이는 창작물을 상업성 여부, 리믹스 허용 등 세부 조건별로 조립 가능한 단위로 보고, 이를 온체인에서 유통 가능하게 만든 것이다. 이를 통해 IP는 자산처럼 활용될 수 있으며, IP를 통해 수익화할 수 있는 기회도 무한히 확장된다.
결국, 스토리가 제시하는 PIL은 법률 계약서, 스마트 계약, 자동 진위 검증까지 통합한 시스템이다. 이제 누구나 스토리를 통해 IP를 쉽게 등록하고, 조건을 설정하고, 수익화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다. 스토리가 IP 온체인화의 가능성을 실현해내는 플랫폼으로 자리 잡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