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균형 예산 달성 시 연소득 15만 달러 이하 세금 면제 고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 (출처: AP)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균형 예산을 달성할 경우 연소득 15만 달러(약 2억 2천만 원) 미만인 사람들에 대한 세금 면제를 추진하고 싶어 한다고 트럼프 행정부 각료가 13일(현지시간) 밝혔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은 이날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 같은 계획을 공개하면서 "이것은 야심 찬 계획"이라고 말했다.
러트닉 장관은 현재 트럼프 행정부에서 관세 정책을 담당하는 실무 책임자로,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추진 중인 관세 정책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대대적인 관세 부과와 연방 정부 인력 감축을 통해 재정을 확보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세금 면제 계획이 나온 것은 이러한 정책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을 완화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인상하고 연방 정부 공무원 감축을 통해 예산을 절감하는 방식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부에서는 관세 정책이 결국 소비자 물가를 상승시킬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 수익과 절감된 정부 지출이 결국 중산층 이하 국민들에게 세금 감면이라는 혜택으로 돌아갈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 내 여론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CNN이 여론조사 기관 SSRS에 의뢰해 지난 6일부터 9일까지 미국 성인 1,20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오차범위 ±3.3%p)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해 응답자의 61%가 지지하지 않는다고 답했으며, 지지한다는 응답은 39%에 그쳤다.
경제 정책 전반에 대한 평가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56%로, 지지한다는 응답(44%)보다 많았다. 특히 관세 정책에 대한 반감이 다른 경제 정책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 정책이 실제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관세 정책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줄일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무역 전쟁이 지속되면서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정책을 유지하면서도 감세 공약을 실현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