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차기 총리 14일 취임... "존중과 공정한 무역 된다면 트럼프와 만나겠다"
14일 캐나다 총리로 취임하는 마크 카니 자유당 당대표 (출처: Reuters)
캐나다 차기 총리인 마크 카니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회담 가능성을 열어두면서도,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에 강하게 반발했다.
AP통신에 따르면, 오는 14일(현지시간) 캐나다 총리로 공식 취임하는 카니는 이날 온타리오주 해밀턴의 한 철강 공장에서 기자들과 만나 "캐나다의 주권을 존중하고, 공정한 무역을 위한 논의가 이루어진다면 트럼프 대통령과 만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그는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경제·안보 파트너십이 새롭게 정비된다면 양국 노동자들에게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며, 미국과의 협력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하지만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에 대해서는 우려를 표하며 "오늘은 캐나다와 우리 산업에 있어 힘든 날이다. 이번 관세 조치는 부당하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미국은 이날부터 철강과 알루미늄 수입품에 대해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이에 맞서 캐나다 정부는 13일부터 298억 캐나다 달러(약 30조 1000억 원) 규모의 보복 관세를 시행할 계획이다. 이번 조치는 미국산 철강·알루미늄 제품뿐만 아니라 컴퓨터, 스포츠 장비, 온수기 등 142억 캐나다 달러(약 14조 3000억 원) 상당의 다양한 품목을 포함한다.
이번 대응은 캐나다가 지난 4일 트럼프 행정부의 추가 관세에 맞서 도입한 300억 캐나다 달러(약 30조 3000억 원) 규모의 보복 관세에 더해지는 조치다.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를 향해 경제적 압박을 지속하면서 "캐나다는 미국의 51번째 주가 되어야 한다"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카니는 지난 9일 자유당 대표 선거에서 85%가 넘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되며 캐나다 차기 총리직을 확정지었다. 중앙은행 총재 출신으로 경제 전문가로 평가받는 그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캐나다 경제를 성공적으로 방어한 경험이 있으며, 이후 영국 중앙은행(BOE) 총재를 맡아 브렉시트에 따른 경제적 충격을 관리한 경력이 있다.
그는 취임과 동시에 내각 규모를 현재의 절반 수준으로 줄이는 등 정부 조직을 대폭 개편할 것으로 알려졌다. 앞으로 트럼프 행정부와의 무역 갈등 속에서 캐나다의 경제 정책을 어떻게 이끌어갈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