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양자기술 경쟁력 강화 위해 '양자전략위원회' 출범
12일 출범한 양자전략위원회 (출처: 기획재정부)
차세대 전략 기술로 주목받는 양자기술 분야의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한국 정부가 '양자전략위원회'를 출범시켰다. 정부는 양자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업을 중심으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해 글로벌 경쟁에 대응할 계획이다.
12일, 정부는 대전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양자전략위원회'(이하 전략위) 출범식을 열고 첫 회의를 개최했다. 전략위는 양자 분야의 최고위 정책 심의·의결 기구로, 국무총리가 위원장을 맡는다. 민간위원으로는 산·학·연 분야의 전문가 11명이 위촉되었으며,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을 부위원장으로, 관계부처 장관 7명도 정부위원으로 참여했다. 전략위 출범은 지난해 11월 시행된 '양자과학기술 및 양자산업 육성에 관한 법'에 근거한다.
양자 기술은 인공지능(AI)에 이은 차세대 핵심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인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IBM 등이 양자칩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국가 차원의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양자 기술은 기존 암호체계를 무력화할 수 있어 국가 안보에 영향을 미치며, 해킹이 불가능한 통신망이나 초정밀 감지 기술 구현에도 활용될 수 있다.
전략위는 양자 소부장 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퀀텀 파운드리(양자 소자 연구·개발 시설) 구축도 추진할 예정이다. 양자 소프트웨어와 알고리즘 개발을 지원하고, 관련 스타트업 성장을 도울 방침이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1차관은 "양자 산업은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선도하고 있지만, 우리는 소부장 분야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어 승부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핵심 기술 확보를 위한 대형 연구개발(R&D) 프로젝트도 본격 착수한다. 1000큐비트(양자컴퓨터의 기본 연산 단위) 양자컴퓨터, 양자중계기 기반의 양자네트워크, GPS 없는 위치측정이 가능한 양자항법 센서 등 차세대 기술을 민간 기업과 함께 개발할 예정이다. 또한, 양자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해외 인재 유치에도 나선다. 김성수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양자 기술 투자는 유망 선수를 키우는 것과 같다"며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한국의 양자 기술 개발 예산은 경쟁국에 비해 부족한 상황이다. 중국은 최근 5년간 150억 달러(약 22조 원)를, 미국은 같은 기간 38억 달러(약 5조 6000억 원)를 투자했다. 반면, 한국의 올해 양자기술 관련 예산은 1980억 원에 불과하다. 이창윤 차관은 "현재 투자가 충분하지 않지만, 산업 생태계가 먼저 갖춰져야 큰 투자금을 소화할 수 있다"며 "정부 투자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민간 투자와 연계할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