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조선업 육성 본격화…한국 조선업계 기대감 확산
트럼프가 직접 육성에 나선 조선업 (출처: USNI News)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조선업 부활 계획이 점차 구체화되면서, 한국 조선업계가 수혜를 기대하고 있다.
로널드 오루크 미국 의회조사국(CRS) 해군업무 분석관은 11일(현지시간) 하원 군사위원회 소위원회에서 "일본, 한국, 유럽 등 동맹국 조선소에서 미 해군 함정이나 일부 부품을 건조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며 "노동 투입량을 줄이는 한국식 생산성 중심 설계도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미국은 동맹국 기술을 활용해 자국 조선업 부흥을 도모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주요 방안으로는 ▶동맹국이 미국 내 조선소를 인수하거나 신규로 설립해 공동 운영하는 방식 ▶군함이나 상선을 동맹국에서 부분적으로 건조하고, 미국에서 최종 조립하는 방식이 검토되고 있다.
이 같은 전략은 중국의 해군력이 급속도로 강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미 국방부가 지난해 발간한 '2024 중국 군사력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전투함정은 2010년 220척에서 2025년 400척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미국은 같은 기간 동안 288척에서 287척으로 제자리걸음에 머물렀다. 2030년에는 중국 425척, 미국 294척으로 격차가 더욱 벌어질 전망이다.
미 의회예산국은 올해 1월 미 해군이 2054년까지 364척의 신규 함정을 건조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연평균 300억 달러(약 43조 5,000억 원)를 투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미국 내 조선업 인프라는 1980년대 이후 조선업 지원 중단과 높은 인건비로 인해 크게 약화된 상태다. 이에 따라 단기간에 대규모 함정 건조는 어려운 상황이다.
한국 조선업계는 이러한 상황에서 수주 확대 가능성을 주목하고 있다. 특히 전투군함의 해외 건조를 금지하는 '번스-톨리프슨법(Burns-Tollefson Act)'이 수정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실제로 미국 상원은 지난해 12월 동맹국에서 자국 함정을 건조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미국을 위한 선박법(SHIPS for America Act)'을 발의한 바 있다.
김기원 대경대 군사학과 교수는 "한국은 잠수함과 이지스함 건조와 유지·보수·정비 기술을 장기간 축적해온 데다, 군사기밀 유출 우려가 적은 동맹국"이라며 "미국이 한국에 건조 및 정비를 맡길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국내 조선업계는 미국 시장에 대한 투자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한화오션은 지난해 미국 필리조선소를 1억 달러(약 1,450억 원)에 인수하며 선제적 대응에 나섰다. 이장현 인하대 조선해양공학과 교수는 "미국 내 규제와 수주 물량 등 불확실성이 여전히 크다"며 "미국 정책 변화에 맞춰 단계적으로 투자 규모를 확대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