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우크라이나, 30일 휴전 합의… 전쟁 종식 논의 진전
11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열린 미국과 우크라이나간의 고위급 회담 (출처: AFP)
미국과 우크라이나가 3년 넘게 이어진 전쟁을 멈추기 위해 30일간의 임시 휴전에 합의했다. 이번 결정은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열린 고위급 회담에서 도출된 것으로, 러시아가 동의할 경우 전쟁의 포성이 한시적으로 멎을 가능성이 커졌다.
11일(현지 시간) AFP와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과 마이크 왈츠 국가안보보좌관, 안드리 예르마크 우크라이나 대통령 비서실장 등 양국의 핵심 관계자들이 9시간에 걸친 회담 끝에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성명에서 우크라이나는 미국이 제안한 즉각적인 30일 휴전을 수락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이 조치는 러시아의 동의를 전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은 러시아와 협상에 나서 휴전안을 전달할 예정이며, 러시아가 이를 수용할 경우 전선 전체에 걸쳐 포괄적인 휴전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은 이번 합의를 계기로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지원과 정보 공유를 즉각 재개하기로 했다. 루비오 장관은 "우크라이나가 긍정적인 조치를 취한 만큼, 이제 공은 러시아로 넘어갔다"며 "우리는 러시아가 이에 동의하고 평화를 선택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양국은 또 장기적인 안보 보장을 위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조만간 광물 협정을 포함한 포괄적 합의를 체결하기로 했다. 지난달 백악관에서 두 정상이 공개적으로 충돌한 이후 첫 고위급 회담에서 양국이 실질적인 합의점을 찾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러시아는 아직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지만, 미국은 이번 휴전안을 전달하고 푸틴 대통령과 협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도 "앞으로 며칠 내로 푸틴 대통령과 대화할 가능성이 크다"며 "완전한 휴전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회담에서는 전쟁 포로 교환, 강제 이송된 우크라이나 어린이들의 귀환 문제 등도 논의됐다. 휴전이 성사될 경우, 우크라이나는 서방의 안보 보장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지만, 미국은 이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러시아의 반응이 향후 휴전 성사의 핵심 변수로 떠오른 가운데, 미국과 우크라이나의 합의가 전쟁 종식을 향한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