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백악관, 트럼프 관세 정책 효과 홍보… 현대차·LG전자·삼성전자 사례로 제시
도널트 트럼프 미국 대통령 (출처: AP)
미국 백악관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글로벌 기업들의 미국 내 생산 확대를 유도하고 있다며 현대차, LG전자, 삼성전자를 대표적인 사례로 소개했다.
백악관은 10일(현지 시간) 발표한 보도자료에서 "기업들이 관세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미국 시장으로의 확장을 고려하고 있다"며 총 12개의 글로벌 기업을 언급했다.
이날 백악관은 로이터 통신의 보도를 인용하며 "점점 더 많은 기업들이 미국 내 사업 확장과 판매 거점 구축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노동자를 보호하고 국가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공약을 실천한 결과"라고 주장했다.
현대차에 대해서는 "한국의 자동차 제조업체가 지난 1월 23일 관세 영향을 줄이기 위해 미국 내 생산 확대 계획을 발표했다"며 "조지아주의 새로운 공장에서 하이브리드 차량을 생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LG전자는 한국 언론 보도를 인용하며 "멕시코에서 운영하던 냉장고 제조 공장을 테네시주 세탁기·건조기 생산 공장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삼성전자에 대해서도 "멕시코의 건조기 제조 공장을 사우스캐롤라이나주로 이전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는 한국 경제지의 보도를 언급하며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기업 투자 방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백악관은 이탈리아 주류 기업 캄파리, 대만의 컴팔 전자, 스웨덴의 위생용품 업체 에씨티, 일본의 혼다, 대만 인공지능(AI) 기업 인벤텍, 명품 브랜드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 자동차 제조업체 스텔란티스, 폭스바겐, 볼보 등도 미국 내 생산시설 확장과 투자를 검토 중인 사례로 제시했다.
앞서 백악관은 지난달 2일에도 관세 정책 효과를 홍보하며 현대차, 현대제철, LG전자, 삼성전자의 사례를 소개한 바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 정책을 통해 미국 내 제조업 활성화를 유도하려는 움직임을 지속하는 가운데, 글로벌 기업들의 대응이 향후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