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dings
News
Reports
Home
Recent
Best
mu/News
Join
07/01
이더리움, 2500달러 돌파 임박… 기관투자자들의 매수세 지속
6월 내내 박스권을 형성했던 이더리움(ETH) 시장에서 장기 보유자들의 강력한 매수 움직임이 포착됐다.암호화폐 분석업체 크립토퀀트(CryptoQuant)에 따르면, 6월 가격 조정 국면에서도 장기 보유자(Long-Term Holders, LTH)들은 지속적으로 이더리움을 매집했다. 이 같은 누적 매수는 가격 흐름과 반대로 움직이는 양상을 보였는데, 이는 향후 강세 전환 가능성을 시사하는 지표로 해석된다.실제로 이더리움은 최근 며칠 간 변동성을 겪으면서도 2400달러 선을 유지하고 있다. 2,200~2,800달러 사이에서 형성된 박스권 내에서 등락을 반복하며, 단기적으로는 뚜렷한 방향성을 보이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횡보 흐름 속에서도 장기 보유자의 매수세는 꾸준히 이어졌다는 점이 주목된다.기관 투자자들의 수요 역시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업체 글래스노드(Glassnode)에 따르면, 6월 셋째 주에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를 통해 기관들이 새로 매입한 이더리움은 10만6,000개에 달했다. 이는 7주 연속 순유입세가 이어진 것으로, 이더리움 가격이 2,200달러에서 2,500달러로 반등하는 흐름과 맞물려 나타난 결과다. 기관 자금의 유입은 시장 신뢰 회복의 신호로 해석된다.현재 ETH는 2,500달러 저항선을 앞두고 공방을 벌이고 있으며, 200일 단순이동평균(SMA)인 2,170달러 위에서 거래 중이다. 단기 저항선으로는 50일 SMA(2,507달러)가 작용하고 있다. 이 같은 기술적 지표는 향후 방향성을 결정할 중요한 분기점에 있다는 점을 나타낸다.시장에서는 이더리움이 2,500달러를 상향 돌파할 경우 알트코인 시장 전반에 긍정적인 신호를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만 금리 불확실성과 지정학적 리스크, 유동성 변동성 등 거시경제 변수는 여전히 위험 요인으로 남아 있다.이처럼 외부 여건이 복합적인 상황에서도 장기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지속되고 있다는 점은, 이더리움에 대한 중장기적 신뢰가 여전히 유효하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암호화폐 전문매체는 “가격 조정기 속에서의 누적 매수는 이후 상승장의 발판이 될 수 있다”며 긍정적인 관점을 유지했다.
168
0
mu/News
Join
07/01
트래블월렛, 아발란체와 원화 기반 디지털 화폐 개발 협력
핀테크 기업 트래블월렛이 블록체인 플랫폼 아발란체와 원화 기반 디지털 화폐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이번 협약은 원화 가치에 1대1로 연동되는 스테이블코인과 자동 실행 조건이 설정된 디지털 화폐 공동 개발을 골자로 한다. 두 화폐 모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금융 거래의 자동 처리를 목표로 한다는 설명이다.트래블월렛은 이 디지털 화폐를 활용해 자금 이동과 결제 과정을 자동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일정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대금을 지급하거나, 정해진 날짜에 맞춰 할부 결제가 이뤄지는 형태 등을 예로 들었다. 물건 수령 시 자동 결제, 매달 정기 지급 같은 방식도 가능하다고 덧붙였다.향후 서비스 계획에 대해서도 트래블월렛은 △온·오프라인 결제 △기업 대상 정산 △금융 업무 자동화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입장이다.김형우 트래블월렛 대표는 “이번 프로젝트는 금융 시스템의 작동 방식을 기술적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이라며 “국내외 결제 인프라로 확장할 가능성도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저스틴 김 아발란체 아시아 총괄은 “트래블월렛은 실제 결제 환경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해 온 기업”이라며 “이번 협업을 통해 한국과 아시아 지역에서 블록체인 기반 금융 서비스 확대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152
0
mu/News
Join
07/01
두나무와 네이버페이, 원화 스테이블코인 협력으로 시장 선점 경쟁 시작
국내 디지털자산 거래소 업비트의 운영사 두나무와 간편결제 시장 1위 사업자 네이버페이가 손잡고 원화 스테이블 코인 사업에 나섭니다.1일 업계에 따르면 두나무와 네이버페이는 원화 스테이블 코인을 활용한 결제 사업을 공동 추진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두나무 관계자는 “업비트는 네이버페이의 스테이블코인 사업을 지원하기로 했다”며 “다만 향후 어떤 형태로 협업할지, 발행 주체가 어디가 될지는 법과 제도 정비 상황에 맞춰 구체화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이번 협력은 양사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결과로 보입니다. 두나무는 그동안 디지털자산 거래를 넘어 결제와 송금 등 신사업 모델을 모색해왔고, 이번 제휴를 통해 강력한 파트너를 확보하게 됐습니다. 네이버페이 역시 지난달 26일 열린 ‘10주년 미디어데이’에서 스테이블 코인 도입을 위한 컨소시엄 구성을 공식화하며 시장 진출 의지를 분명히 했습니다.박상진 네이버페이 대표는 이날 “AI와 웹3 기술 확산으로 사용자들의 금융 이해도가 높아지고 있다”며 “국경 간 금융 거래 비용도 점차 낮아지는 추세”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 같은 변화 속에서 원화 스테이블 코인은 국경을 넘어 사용자를 연결하는 미래 디지털 금융의 핵심 수단이 될 것”이라며 “네이버페이는 국내 최대 간편결제 생태계와 웹3 기반 디지털 자산 지갑 ‘Npay 월렛’ 등 높은 수준의 디지털 금융 기술력을 이미 갖췄다”고 덧붙였습니다.한편, 토스, 카카오페이, KB국민은행 등 핀테크 업체와 시중 은행들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에 대비해 상표권 출원에 나서고 있습니다.
135
0
mu/News
Join
07/01
ETF 자금 유입 지속… 비트코인 상승세 멈춘 이유는?
비트코인(BTC) 가격이 3개월 가까이 이어온 상승세에 제동이 걸렸다. 미국 현물 비트코인 ETF(상장지수펀드)로 자금이 연일 유입되고 있지만, 거래량 감소와 단기 투자자들의 차익 실현으로 상승 탄력이 약해졌다는 분석이다.비트파이넥스(Bitfinex)는 6월 30일(현지 시각) 보고서에서 “상승 추세 속에서 모멘텀이 처음으로 약화되기 시작했다”며 “현물 거래량과 매수세가 줄고 차익 실현이 늘고 있어 급등 추세가 멈출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비트코인은 올해 4월 9일 7만3273달러(약 1억120만 원)까지 하락한 이후 약 41% 상승해 10만7380달러(약 1억4830만 원)까지 올랐지만, 최근 한 달간 상승률은 2.9%에 그치며 상승 속도가 둔화됐다.시장에서는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로의 자금 유입 지속 여부가 향후 비트코인 향방을 가를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영국 금융 데이터업체 파사이드(Farside)에 따르면 미국 현물 비트코인 ETF는 6월 9일부터 27일까지 14거래일 연속으로 순유입을 기록했으며, 이 기간 동안 총 46억3000만 달러(약 6조4000억 원)가 유입됐다.연준(Fed)의 기준금리 정책도 비트코인 시장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융전문가들은 연준이 7월 30일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19%로 보고 있으며, 금리가 낮아질 경우 가상자산 시장에는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 다만 비트파이넥스는 “단기적으로는 조정 국면에 들어갈 가능성이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시장 구조가 여전히 견조하며 주요 지지 구간이 유지되고 있다”고 평가했다.일각에선 비트코인 장기 보유자들이 매도를 멈춰야 본격적인 상승세가 재개될 것이라는 시각도 나온다. 투자사 카프리올 인베스트먼트의 창립자 찰스 에드워즈는 “비트코인이 10만 달러 수준에서 정체된 것은 기관들의 매수에도 불구하고 장기 보유자(OG)의 매도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전문가들은 ETF 자금 유입과 금리 인하 기대감이 맞물릴 경우 재차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134
0
mu/News
Join
07/01
코네티컷, 비트코인 투자 금지 법안 서명
미국 코네티컷주가 주 정부 차원의 비트코인을 포함한 모든 가상자산 투자와 보유를 공식적으로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미국 코네티컷주 네드 라몬트(Ned Lamont) 주지사는 최근 주 정부가 비트코인을 포함한 모든 형태의 가상자산에 직접 투자하거나 보유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안에 서명했다고 밝혔다.이번 조치는 주 정부 연금 기금과 재정 투자 포트폴리오에 가상자산의 변동성과 규제 불확실성이 끼치는 영향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라몬트 주지사는 “가상자산 시장은 투기적 성격이 강하고 가격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납세자의 세금을 기반으로 한 공공 기금 운영에 있어 적절치 않다”고 밝혔다.이번 법안은 코네티컷주의 공무원연금과 교사연금, 기타 공공기금이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을 투자 대상으로 삼지 못하도록 규정하며, 향후 주 정부 차원의 가상자산 보유에 대한 규제도 단계적으로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139
0
mu/News
Join
07/01
저커버그의 AI 경쟁: OpenAI 인재 영입으로 '메타 슈퍼인텔리전스 랩' 시작
메타가 인공지능 전쟁의 흐름을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는 '메타 슈퍼인텔리전스 랩(MSL)' 설립을 발표하며 인류의 새로운 시대를 열고자 한다고 전했습니다. 동시에 메타는 OpenAI, 구글, 앤트로픽, 딥마인드의 인재를 높은 보상으로 영입하며 인재 전쟁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WSJ, CNBC에 따르면 MSL의 창립 멤버 중 상당수는 OpenAI와 구글 딥마인드 출신 연구원들로 이루어졌습니다. 메타는 최대 1억 달러에 달하는 사이닝 보너스와 파격적인 연봉을 제시했습니다.OpenAI의 최고 연구 책임자 마크 첸은 메타의 공격적 영입을 강하게 비판하며 내부 동요를 잠재우기 위해 임직원들에게 일주일간 휴가를 주었습니다.메타는 스케일AI 창업자이자 전 CEO인 알렉산더 왕과 깃허브 전 CEO 나트 프리드먼 등 AI 업계 '엘리트'를 영입해 인재 밀도가 높은 팀을 구성하였습니다. 저커버그는 개인용 슈퍼인텔리전스 실현의 기반을 다지고 있습니다.OpenAI는 이번 인재 전쟁을 '사이드 퀘스트'라고 표현했지만 업계는 이 전쟁이 '코드'가 아닌 '인재와 자금, 자원'의 전쟁이라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AI 슈퍼인텔리전스 개발 주도권을 잡기 위한 전쟁이 시작되었다고 평가됩니다.
145
0
mu/News
Join
07/01
[시황] 코스피 3089.64(▲0.58%), 코스닥 783.65(▲0.28%) 거래 시작
1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3071.70)보다 17.94포인트(0.58%) 오른 3089.64에 개장했다.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781.50)보다 2.15포인트(0.28%) 상승한 783.65에 거래를 시작했다.
148
0
mu/News
Join
07/01
퇴직연금, AI로 운용하니 수익률 향상…로봇 경쟁 시작
퇴직연금을 인공지능(AI) 알고리즘으로 굴릴 수 있는 로보어드바이저(RA)가 상용화 3개월 차에 접어들며, RA 사업자들 간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높은 수익률을 보이는 상품들도 잇달아 출시되면서 업계에서는 현재 개인형퇴직연금(IRP) 계좌에 한정된 RA 운용이 확정기여형(DC형) 퇴직연금까지 확대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로보어드바이저는 AI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투자자 성향에 맞춰 자산을 운용하는 서비스다. 금융위원회가 지난해 12월 퇴직연금을 RA에 일임할 수 있도록 혁신금융서비스(규제샌드박스)로 지정한 뒤, 올해 3월 본격적인 서비스가 시작됐다. 퇴직연금 가입자는 자신의 투자 성향과 리스크 선호도 등을 고려해 알고리즘을 선택하고 퇴직연금 운용을 맡길 수 있다. 다만 현재는 IRP 계좌에 한해 RA 일임 운용이 가능하다. 확정급여형(DB형)과 확정기여형(DC형) 퇴직연금 적립금은 RA 일임 대상에서 제외된다. 가입 한도는 연간 900만원이다. 당시 금융위는 RA 일임 서비스를 통해 퇴직연금 가입자들이 전문적인 자산운용 서비스를 합리적인 비용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장기적으로 실적배당형 상품 투자를 확대해 퇴직연금의 수익률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1일 코스콤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RA 테스트베드에 공시된 상용 가능한 퇴직연금 RA 알고리즘은 총 528개다. 이 외에도 출시를 앞두고 심사를 진행 중이거나 운용 심사를 완료한 알고리즘이 318개에 달한다.RA 시장 초기에는 RA 사업자와 증권사, 자산운용사를 중심으로 서비스가 출시됐지만, 최근에는 은행권까지 가세하며 경쟁이 확대되고 있다. NH농협은행은 지난달 30일 미래에셋자산운용, 디셈버앤컴퍼니, AI콴텍과 제휴를 맺고 상장지수펀드(ETF)와 펀드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RA 일임 운용 서비스를 출시했다. 그 외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IBK기업은행 등도 RA 사업자와 함께 연내 관련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수익률도 양호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이 개발한 ‘M-ROBO마이골드자원배분_ETF_P’ 적극투자형과 위험회피형은 지난 1년간 각각 29.89%, 23.77%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어 NH투자증권의 ‘NH_DNA 퇴직연금_Profolio_P’ 적극투자형(21.27%), AI 콴텍의 ‘콴텍 AI QUANT_P’ 적극투자형(18.93%), 미래에셋자산운용의 ‘M-ROBO마이골드자원배분_ETF_P’ 안전추구형(17.97%), 삼성자산과 쿼터백이 함께 개발한 ‘한국 자산배분_P’ 적극투자형(17.81%) 등이 1년 수익률 상위를 기록했다. 운용 자산 규모가 큰 알고리즘을 보면, 미래에셋자산운용의 ‘M-ROBO마이스마트라이프_P’ 적극투자형, 안정추구형, 위험중립형은 지난 1년간 각각 6.63%, 5.32%, 5.42%의 수익률을 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의 ‘KimRobo_은퇴인출_31_P’ 적극투자형, 안정추구형, 위험회피형의 1년 수익률은 각각 9.98%, 8.44%, 9.08%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퇴직연금의 연평균 수익률이 2.93%에 그친 점을 고려하면, RA 일임 운용에 대한 기대가 나오는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RA 운용 가능 대상이 IRP에서 DC형으로 확대될 가능성에도 주목하고 있다. 금융위가 혁신금융서비스 조건 변경을 통해 DC형 계좌도 RA 일임 운용을 허용하도록 하는 방안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IRP 계좌 일임 운용과 DC형 계좌 일임 운용이 기술적인 부분에서는 차이가 없다”며 “RA가 안정적으로 운영되는 게 확인되면 가능한 빨리 DC형까지 확대되는 걸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경우 시장 규모는 2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 1분기 기준 퇴직연금 적립금은 DB형이 48.5%, DC형이 26.6%, IRP가 24.8%를 차지하고 있다.한편, 금융당국은 규제샌드박스 기간인 최대 4년 동안 수익률과 안정성 등 운영 성과를 살펴보고 법률 개정 등 제도 개선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137
0
mu/News
Join
07/01
디지털 자산, 청장년층 노후 대비 수단으로 주목
국내 디지털자산 투자자가 1000만명에 달하는 가운데 디지털자산이 투기 목적을 넘어 목돈 마련이나 노후 대비 자산으로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0대 투자자 가운데 절반 이상은 노후 준비 목적으로 바라봤다.1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하나금융연구소는 ‘2050세대 가상자산 투자 트렌드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디지털자산 투자자 10명 중 4명은 단타 수익이 아닌 노후 준비 목적으로 코인에 투자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보고서는 20~50대 금융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다.비트코인 보유량을 나이별로 나눴을 때, 50대(30%)가 제일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40대(27%) △30대(23%) △20대(20%)가 뒤를 이었다. 여성보다는 남성의 투자 비중이 2배 높았다. 직업별로는 화이트칼라(사무직 직장인)가 52%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보고서는 디지털자산 출현 초기에는 주변 사람들의 추천이나 유행에 따라 투자를 시작했다는 응답이 57%로 높았으나, 2024년 이후엔 34%로 감소했다. 반면 새로운 투자 영역으로 가능성을 보고 접근했다는 응답은 26%에서 44%로 늘어났다.특히 50대 투자자 가운데 78%는 ‘목돈 마련’, 53%는 ‘노후 대비’를 목적으로 코인을 보유하고 있다고 답했다. 전체 응답자 기준으로도 돈 굴리기 목적(79%)과 노후 대비(40%)가 유행·재미(24%)나 생활비 충당(22%)보다 높았다.투자 방식에서도 디지털자산 출현 초기와 비교해 정기적 투자와 장기 보유 같은 계획적인 투자가 증가했음을 확인했다. 정기적으로 통해 조금씩 투자한다는 비율은 10%에서 34%로 늘었고, 중기 매매 비중도 같은 기간 26%에서 47%로 확대됐다. 단기 투자 목적은 48%에서 45%로 줄었다.투자자 10명 중 9명은 코인 또는 토큰만 보유했고 대체불가토큰(NFT)과 토큰증권(STO) 비중은 작았다. 투자자는 평균 2종의 코인 또는 토큰을 보유했고, 10명 중 6명은 비트코인을 담았다. 투자 초기에는 비트코인에 집중하지만 경험이 쌓일수록 알트코인이나 스테이블코인으로 분산하는 경향도 있었다.또 디지털자산 투자자들이 느끼는 가장 큰 불편은 거래소 개설 시 ‘기존 은행 계좌와 연동이 불가’한 점이었다. ‘1거래소 1은행 지정’ 제약이 완화된다면 투자자 10명 중 7명은 우대 혜택을 주는 신규 은행보다 주거래은행을 선택하겠다고 답했다.시장 변동성에 대한 우려(56%)는 여전히 컸고, 투자 의향이 낮은 사람일수록 거래소 리스크(61%)나 사기 위험(61%)을 더 크게 인지해 심리적 저항감이 컸다. 다만 이들은 전통 금융사의 역할이 확대(42%)되거나 법적 규제가 강화(35%)된다면 투자를 긍정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고 답했다.이번 보고서는 투자자들의 디지털자산에 대한 인식이 단순 투기보다 장기적 투자 상품으로 전환돼 가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윤선영 하나금융연구소 연구위원은 “이미 디지털자산은 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 내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며 더욱 대중화될 전망이며, 이에 디지털자산의 법적 제도화와 기존 금융권의 역할 확대를 기대하는 투자자들의 바람이 크다”고 말했다.
136
0
mu/News
Join
07/01
리스크제로, 바운드리스 재단 출범… “영지식 중심으로 발전 목표”
영지식(ZK·Zero Knowledge) 기술의 대중화를 목표로 독립 조직 ‘바운드리스 재단’이 공식 출범했습니다. 범용 RISC-V zkVM을 개발한 RISC 제로 팀이 주축이 된 바운드리스 재단은 특정 네트워크에 국한되지 않으며 영지식 기술 응용 사례를 전 세계로 확장할 계획입니다.바운드리스 재단은 모든 산업 분야에 영지식 기술을 도입하여 컴퓨팅 확장성, 개인정보보호, 규제 준수 등의 이점을 알릴 것입니다. 재단의 출범은 핵심 기술 개발사인 RISC 제로와의 파트너십에 기반하며, RISC 제로의 혁신 기술을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분산형 인프라를 구축할 것입니다.이 재단은 RISC 제로의 zkVM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단일 기술에 의존하지 않는 ‘멀티 zkVM’ 접근 방식을 채택하여 다양한 증명 시스템과 zkVM을 통합하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들은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zkVM을 선택할 수 있게 됩니다.재단 측은 투명한 거버넌스와 공평한 보상 분배를 통해 검증 가능한 컴퓨팅이 전 세계 애플리케이션에 혁신을 가져오는 미래를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이러한 전략은 이미 구체적인 성과로 나타나고 있으며, 여러 팀이 바운드리스 네트워크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 중입니다.바운드리스 재단은 생태계 개발을 위해 지원 프로그램을 본격 가동할 계획입니다. 이에는 다양한 증명 시스템에 대한 제안요청서와 개발자 및 단체를 위한 대규모 보조금 등이 포함됩니다.
121
0
mu/News
Join
07/01
SOL 150달러 하회
마켓 모니터링에 의하면 SOL가 150달러를 하회했다. USDT 마켓 기준 SOL는 149.13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120
0
mu/News
Join
07/01
BTC 5% 하락
마켓 모니터링에 의하면 BTC가 5% 하락했다. USDT 마켓 기준 BTC는 107,358.15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143
0
mu/News
Join
07/01
ETH 5% 하락
마켓 모니터링에 의하면 ETH가 5% 하락했다. USDT 마켓 기준 ETH는 2,495.3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138
0
mu/News
Join
07/01
SOL 150달러 돌파
마켓 모니터링에 의하면 SOL가 150달러를 돌파했다. USDT 마켓 기준 SOL는 151.58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114
0
mu/News
Join
07/01
SOL 5% 하락
마켓 모니터링에 의하면 SOL가 5% 하락했다. USDT 마켓 기준 SOL는 156.98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141
0
mu/News
Join
07/01
비트코인·이더리움 ETF, 6월 동안 계속된 순유입
6월 마지막 거래일까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현물 ETF(상장지수펀드)에 자금 유입세가 이어지며 투자 심리가 회복되는 신호를 보였다. 단기적인 가격 조정 국면에서도 ETF를 통한 자금 유입이 멈추지 않으며, 현물 시장 유동성과 투자 심리 안정화에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30일(현지시간) 기준 비트코인 ETF 시장에서는 1억200만달러 규모의 순유입이 발생하며 16거래일 연속 자금 유입세가 이어졌다. 종목별로는 블랙록(BlackRock)의 IBIT가 1억1230만달러 순유입으로 유입세를 이끌었다. 반면, 피델리티(Fidelity)의 FBTC, 그레이스케일의 GBTC 등 주요 상품에서는 유출입이 발생하지 않았다.아크인베스트먼트에서만 1020만달러의 소규모 순유출이 있었지만 IBIT의 유입이 이를 상쇄했다. 이로써 비트코인 현물 ETF의 누적 유입액은 489억5400만달러에 달하며, 6월 하루 평균 1억3340만달러 규모의 자금이 꾸준히 시장으로 유입된 것으로 집계됐다.이더리움 현물 ETF 시장에서도 투자 심리가 회복되는 조짐이 나타났다. 30일 기준으로 3180만달러 순유입이 발생해 이틀 연속 유입세를 이어갔고, 블랙록의 ETHA가 610만달러, 피델리티의 FETH가 2570만달러 순유입을 기록하며 자금 유입을 주도했다. 그레이스케일의 ETHE를 포함한 다른 주요 종목들에서는 유출입이 없었다.이더리움 현물 ETF의 누적 유입액은 422억8800만달러, 하루 평균 1800만달러 수준의 자금이 꾸준히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월 26일 일시적으로 나타났던 그레이스케일 매도 압력이 해소된 이후 재유입세가 유지되고 있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이 현물 ETF를 통한 장기 포지션 구축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시장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이더리움 ETF의 순유입 지속이 단기 가격 변동성이 이어지는 구간에서도 매수세가 유지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ETF를 통한 자금 유입이 현물 시장의 유동성과 매수 기반을 강화하는 동시에, 저점 매수를 뒷받침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108
0
mu/News
Join
07/01
[시장현황] 코스피 3089.65(△0.58%), 코스닥 783.67(△0.28%) 마감
1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3071.70)보다 17.95포인트(0.58%) 오른 3089.65에 마감했다.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781.50)보다 2.17포인트(0.28%) 상승한 783.67에 거래를 마쳤다.
105
0
mu/News
Join
07/01
전 세계 상장사, 한 주간 8.63억 달러 규모 비트코인 순매수
최근 일주일간 전 세계 상장사들이 약 8억 6,300만 달러 상당의 비트코인을 순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암호화폐 데이터 플랫폼 소소밸류(SosoValue)에 따르면, 채굴 기업을 제외한 상장사들의 총 비트코인 보유량은 66만 3,860개에 달하며 이는 약 715억 달러 규모다.이는 전체 비트코인 유통량의 3.34%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기관 차원의 비트코인 축적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ETF 승인, 반감기 이후의 시장 기대감 등이 이러한 매수 흐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173
0
mu/News
Join
07/01
JP모건, 서클 목표주가 80달러 제시…“스테이블코인 경쟁이 주요 리스크”
JP모건이 미국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USDC의 발행사인 서클(CRCL)에 대해 주당 80달러의 목표주가를 제시했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JP모건은 최신 보고서를 통해 “스테이블코인 시장 내 경쟁이 서클에 있어 주요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JP모건은 단순한 스테이블코인 경쟁자뿐 아니라, 토큰화된 예금, 디지털 머니마켓펀드 등 다양한 암호화폐 기반 금융 상품들도 서클의 시장 점유율을 위협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들 경쟁자가 일정 규모 이상의 점유율을 확보하게 될 경우, 서클이 구축해 온 기존 네트워크 인프라를 활용해 영향력을 빠르게 확대할 수 있다는 점을 리스크로 꼽았다.
174
0
mu/News
Join
07/01
SOL 150달러 돌파
마켓 모니터링에 의하면 SOL가 150달러를 돌파했다. USDT 마켓 기준 SOL는 154.75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179
0
Trending Now
1
Bitcoin
2
Stablecoin
1
3
Ethereum
3
4
KOSPI
4
5
KOSDAQ
5
6
Network
4
7
Coin
3
8
Exchange
-3
9
Major
1
10
Mar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