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검색어
- 1비트코인
- 2암호화폐
8
- 3테더
7
- 4스테이블코인
6
- 5트럼프
5
- 6이더리움
4
- 7관세
3
- 8미국 증시
2
- 9테슬라
1
- 10SEC

by D.X.
2025-04-02 15:32:00
엔캐리 트레이드란 일본 엔화처럼 금리가 매우 낮은 통화로 자금을 차입하고, 이를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다른 국가의 통화로 환전하여 그 나라의 자산에 투자하는 전략이다. 투자자는 차입 금리와 투자 수익률 간의 금리 차익(carry)을 통해 수익을 얻는다. 일본 엔화는 장기간 저금리를 유지했기 때문에 엔캐리 트레이드에 자주 활용되어 왔다.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unwind)은 엔화 차익 거래 포지션을 정리하는 것을 의미하며, 투자자들이 빌렸던 엔화를 상환하기 위해 투자했던 자산을 매도하고 엔화로 환전하는 과정이다.
주요 발생 요인:
파급 효과:
시기 및 계기 | 청산 규모 (추정) | 주요 시장 영향 |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 약 4,000억 달러 | 글로벌 증시 폭락, 엔화 급등 |
2020년 코로나19 사태 | 약 5,000억 달러 | 전세계 위험자산 급락, 엔화 강세 및 달러 강세 동시 발생 |
2024년 8월 BOJ 긴축 신호 | 엔화 선물 포지션 20만 건 | 코스피 -8.8% 급락, 미국 및 유럽 증시 급락, 암호화폐 급락 |
2025년 1월 BOJ 금리인상 | 최대 2,270억 달러 | 엔화 일시 급등, 신흥국 자금유출 우려 증폭 |
2025년 2월 日 물가상승 압박 | (우려 단계) | 엔화 강세 지속, 암호화폐 시장 변동성 확대 |
엔캐리 청산 위기는 환율과 금리를 통해 글로벌 금융시장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일본은행의 정책 기조 변화가 엔캐리 트레이드의 향방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며, 엔화 캐리 자금의 규모가 방대하여 글로벌 금융시장 안정성을 위협할 수 있다. 투자자들과 정책당국 모두 리스크 관리와 국제 공조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